메리츠증권은 2024년 4분기 현대차의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며, 회사의 미래 비전 또한 불투명하다고 밝혀 목표주가를 기존 34만원에서 31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현대차가 발표한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2% 감소한 2조8222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인 컨센서스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매출은 46조62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하여 시장 기대치를 소폭 웃돌았다. 이는 원·달러 환율의 약세로 미주 지역 차량과 금융 사업의 원화 환산 매출 상승에 기인한 분석이다. 그러나 메리츠증권은 이 매출 증가세의 본질적인 내용이 부실하다고 지적하며, 판매량과 판매가격의 방향성이 모두 어렵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량은 네 개 분기 연속으로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북미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가 국내 및 신흥국 판매 부진과 상쇄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차량(HEV) 판매 성장도 전기차(BEV) 판매 감소로 인해 가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센티브 지급액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이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되었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제네시스 등 고급 차량 판매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인센티브 확대는 오히려 영업이익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영업이익은 4250억원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메리츠증권은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현대차의 미래 비전 등 신규 발표 내용이 전무하다고 언급하며, 현대차의 2025년 지배주주 순이익이 7%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시점의 기술 로드맵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이 기정사실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대차의 기존 사업에서 발생하는 실적 가치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주가는 단기 실적보다는 성장을 위한 준비 역량에 더욱敏感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가 향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턴어라운드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