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G마켓 중국 자본에 매각 우려로 주가 급락

최근 신세계그룹의 이마트가 G마켓을 중국 알리바바와의 합작사에 현물출자하기로 결정하자,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이마트의 주가는 9.8% 하락하며, 주가순자산비율(PBR) 또한 역대 최저인 0.16배로 떨어졌다. 이는 이마트 주가가 청산가치의 16%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반중 감정과 고객 정보 유출 리스크가 투자자들의 걱정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7개 상장 자회사 및 다수의 비상장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이마트는 핵심 상장 계열사로 자리잡고 있다. 2021년 이마트는 이베이코리아로부터 G마켓 지분 80.01%를 3조4000억원에 인수하며 큰 시너지를 기대했으나, 쿠팡과 네이버 등 강력한 경쟁자들로 인해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신세계는 이마트의 적자 해소를 위해 G마켓을 중국 자본에 매각하고 회생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합작의 주요 내용은 이마트가 G마켓을 알리바바와의 합작 법인에 출자하고, 알리바바는 현금 3,000억원과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지분을 투자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합작사는 향후 기업공개(IPO)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또 다른 ‘쪼개기 상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신세계의 공식적인 부인에도 불구하고 G마켓의 IPO를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번 합작이 과연 국내 소비자 정보의 유출로 이어질 것인가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정용진 그룹 회장이 과거 반중 발언을 한 바 있어, 이번 합작 추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결정은 중국 자본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으로 이마트 주가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이번 결정이 이마트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한다. G마켓은 그룹 내에서 구조조정이 필요한 적자 사업부였으며, 이를 분리함으로써 이마트의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실제로 올해 이마트의 실적은 할인 매장인 트레이더스와 스타벅스코리아가 적자를 견인하고 있어, G마켓의 분리가 오히려 이마트의 실적을 보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 속에서 투자자와 시장의 반응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이마트의 향후 방향성이 어떻게 설정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