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 자사주 매입 소각 부족으로 가치 증대 실패…상장사 이익 상승에도 부진한 주가”

최근 10년간 한국 코스피 상장 기업들의 순이익은 무려 2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동안 코스피 지수 상승률은 겨우 2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규 상장에 대한 과도한 접근과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 부족했던 점이 결정적인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미국 S&P500 기업들의 순이익은 2.09배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수는 무려 196% 상승하며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2024년 3분기 기준, 코스피 상장 기업의 지배주주 순이익은 48조7156억원으로 집계되어, 2014년 3분기와 비교해 2.67배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시간 동안 코스피 지수는 약 2%의 연평균 상승률을 기록하며, 배당금 포함 시에도 단순한 은행 예금의 수익률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러한 정체된 주가는 한국 증시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같은 시장 신뢰를 구축하는 조치를 충분히 취하지 않았음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2022년에는 LG에너지솔루션, SK 및 카카오 계열사들이 대규모 신규 상장하면서 주식의 공급량이 급증했지만, 이들 신규 상장 기업의 주가는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2000년 이래 코스피 상장 종목 수는 연평균 3.6% 증가하는 반면, 미국 주식시장의 경우 주식 수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자사주 매입 소각을 통해 주식 가치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김민국 VIP자산운용 대표는 “애플을 비롯한 미국의 주요 기업들은 주주환원의 80% 이상을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투자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들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현금을 최대한 유보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저평가를 해소하는 신호로 작용하며 주당 순이익의 증가에도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증시는 상장사들의 증가로 인해 주식 발행량이 역대 최대로 늘어났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부재가 한국 증시의 주가 상승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이러한 경향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