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이 내년 자금 사정이 올해보다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았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 내수 경기 부진, 정치적 불안 요소가 겹치면서 자금 조달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자본시장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인 매일경제 ‘레이더M’이 최근 49개 대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재무 부서 임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67.3%에 해당하는 33개 기업이 내년 자금 사정이 올해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6.5%인 13곳, 올해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은 3곳, 즉 6.1%에 불과했다.
자금 사정 악화의 주요 원인은 경기 침체라는 의견이 97.2%로 압도적이었다. 덧붙여, 회사채 시장의 악화 또는 기업공개(IPO) 환경의 우려가 각각 22.2%로 거론되었다. 기업들로서는 이러한 자금난의 요인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향후 자금 운영에 있어 ‘경기 부진’이 가장 큰 위협 요소로 87.8%가 응답했다. 이후 ‘환율’과 ‘고금리’가 각각 26.5%, 20.4%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물가 상승’은 10.2%로 뒤를 이었다.
특히 한 식품 및 유통 대기업의 CFO는 원자재 수입에 따른 환율의 영향을 큰 부담으로 보고,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느 정도 대비가 가능하지만, 이후 상황은 예측하기 어려워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기업들은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내년 자금 운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 ‘비용 절감’을 46.9%, ‘디레버리징’을 40.8%가 선택하며, 더욱 경영의 긴축을 예고했다. 이는 대내외的不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기업들이 자금 사정의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는 명백한 사례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도 기회를 포착하려는 의지 또한 강하게 나타났다. 경영진은 내년 자금 사용 목적에서 ‘재무구조 개선’과 함께 ‘신성장 동력 발굴’을 각각 51%의 비율로 선택했다. 이는 허리띠를 졸라매더라도 미래의 성장 가능성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의 반영으로 보인다. 한편, 기업들이 처한 이러한 난국 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