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패턴이 뚜렷하게 엇갈렸다.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정치적 혼란이 증시에 영향을 미친 가운데 외국인들은 SK하이닉스와 LG생활건강과 같은 주요 종목을 순매수하면서 주가가 반등세를 보였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동시에 하락한 이 날, SK하이닉스는 1.08% 상승하며 주가는 16만8900원에 거래를 마감하였다. 이 종목은 비상계엄 발효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두드러지며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4일부터 9일까지의 기간 동안 코스피가 5.6%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SK하이닉스는 오히려 2.4%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관투자자들도 이 종목에 대한 지속적인 매수세를 보였으며, 외국인 투자자 역시 3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하였다.
LG생활건강 또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에 힘입어 비상계엄 이후 주가가 1.1% 상승했다. 아모레퍼시픽과 비교할 때 LG생활건강은 다이소와의 협력을 통해 저가 전략을 강화하는 등의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NH투자증권의 정지윤 연구원은 LG생활건강이 아마존을 통해 글로벌 마케팅을 확대하고 있는 점이 주가 방어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반면 증시 전반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이 순매도를 이어간 종목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낙폭을 보였다. KODEX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와 KB금융은 각각 10% 및 18.1% 하락했다. 또한 외국인들이 순매수를 기록한 포스코홀딩스와 게임업체 크래프톤은 각각 8.0%와 8.4% 하락하는 등의 아이러니한 상황도 발생했다.
삼성전자는 외국인들의 지속적인 매도세 속에서도 기관투자자들의 저렴한 가격에 대한 매수 반응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9일 하루 동안 1.29% 하락하였으나, 4일 이후로는 0.4% 하락에 그쳤다. 외국인은 10월 30일부터 11월 9일까지 삼성전자 주식을 단 2거래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매도해왔다.
시장 전문가들은 현재 외국인 수급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기업 경쟁력에 따라 투자 분위기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김대준 연구원은 금리 인상 등 변수로 인해 외국인의 매도세가 계속된다면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신한투자증권의 노동길 연구원은 정치적 상황이 극단적으로 악화되지 않는다면 개별 기업이나 업종에 따라 저점에서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처럼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경향은 한국 증시의 복잡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향후 시장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