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 이후 증시 휘청, 3분의 1 상장주식 신저가 기록

최근 비상계엄이 선포된 이후, 한국의 주식 시장이 큰 혼란을 겪고 있으며 전체 상장 주식의 3분의 1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0월 4일부터 6일까지의 기간 동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장중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 수는 953개로 집계되었다. 이는 같은 기간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 수(30개)와 비교할 때 무려 32배에 달한다. 현재 거래 중인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전체 상장 종목은 2631개이며, 이 중 36%인 953개 종목이 신저가를 경신했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267개, 코스닥시장에서 686개 종목이 각각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특히, 코스닥 시장의 신저가 비율이 41%로 코스피에서의 28%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여 주목받고 있다. 비상계엄으로 인해 현 정부가 추진하는 대왕고래 사업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 테마주인 동양철관과 디케이락 등의 주가가 하락하며 신저가를 경신하였다.

또한 원전 관련 주식들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한국ANKOR유전과 우진엔텍 등의 주식이 동반 하락하면서 신저가를 기록하였다. 이는 윤석열 정부 하의 체코 신규 원자력 발전소 수출 등과 같은 국정 과제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테마주인 이스타코, 일성건설, 동신건설 등은 오히려 신고가를 기록하며 눈길을 끌었다. 조국 혁신당 대표의 테마주인 토탈소프트 역시 이날 신장을 나타내었다.

이번 사태는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코스피가 사흘 연속으로 하락하며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하락률은 2.88%에 이르렀고 코스닥지수는 4.27% 급락하였다. 이 과정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90억원 규모의 매도를 통해 지수 하락에 기여하였다.

증권업계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당분간 증시의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증시의 변동성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라며, 한 번 신뢰를 잃은 시장은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중요한 악재가 이미 일부 반영된 만큼 코스피의 하단이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정치적 불확실성의 여진은 불가피하겠지만, 심리적 충격은 크게 유입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