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가격, 1년 이상 최고치 기록…앞으로 더 상승할 품목들

최근 글로벌 식품 가격이 1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일부 식품 바구니의 가격 상승이 계속될 것이라는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10월에는 세계 식품 원자재 가격이 2023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FAO 식품 가격 지수는 곡물, 육류, 유제품, 식물성 기름 및 설탕 등 5개 식품 바구니의 가격을 모니터링하며, 10월에 2% 상승했다. 이는 주로 식물성 기름 가격의 급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1월부터 10월까지 식물성 기름 부문은 팜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및 유채유 가격 상승으로 인해 24%나 급등했다. 이어서 유제품 부문은 17% 증가하였으며, 육류 부문은 10% 상승하였다. 반면, 곡물 부문은 4.5%, 설탕 가격은 연간 5% 하락했다. 공급 측의 요인, 즉 기후 변화와 운송 문제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해당 지수는 원자재 가격을 기준으로 하며 소매 가격을 반영하지 않지만, 상승세는 소비자 가격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몇 가지 주요 식품 품목은 가격이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팜유 및 기타 식물성 기름의 경우, 글로벌 수요 증가에 따라 생산량이 제약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엘니뇨 기후 현상이 팜 열매 재배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세계 전체 공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량 감소를 초래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팜유 사용량 증가로 공급이 축소되고 있다는 보고도 나왔다.

둘째, 소고기 가격은 미국 남부 평원의 가뭄으로 인해 상승세이다. 가뭄은 가축 사육에 필요한 사료 생산을 줄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사료 구매 비용 증가 및 가축 수 감소로 이어진다. 미국은 세계 최대 소고기 생산국이기도 하다.

셋째, 커피와 코코아는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으로, 브라질의 기후 변화가 커피 시장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커피 선물 가격이 연초 대비 거의 70% 상승하며 원자재 가격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코코아는 아이보리 코스트의 잦은 비와 품질 저하 문제로 가격 상승 위험에 처해 있으며, 현지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과일과 채소는 미국의 농정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신임 대통령은 중국 및 캐나다와 멕시코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과일과 채소 수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공급망 문제와 정책 변화는 글로벌 식품 가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향후 식품 예측에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