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금지 1년 후, 급등했던 2차전지주들 큰 폭 하락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지 1년이 지난 후, 당시 급등했던 2차전지 관련 종목들이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매도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펀더멘털과 업황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6일 공매도 금지 첫날 상한가를 기록했던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현재 각각 38.3%와 21.8% 떨어졌다. 포스코퓨처엠 또한 공매도 금지 전보다 12.1% 하락했고, 금지 첫날 27% 상승했던 포스코DX는 1년간 44.9%가 감소했다.

이러한 공매도 전면 금지 결정은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불법 공매도 의혹이 커지면서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조사가 요청되었던 배경이 있다. 당시 개인 투자자들은 2차전지 관련 종목의 주가 하락 원인으로 공매도 세력을 지목하며 금지를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공매도 금지 조치가 시행된 이후에도 주가는 롤러코스터처럼 기복을 보이며, 현재는 전반적인 우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차전지와 배터리 관련 회사들이 급등했던 이유는 전기차 업황의 변화와 ‘캐즘’ 현상으로 나타나는 수요 침체로 연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코프로비엠의 영업이익은 2021년에 비해 2022년에 급등하였으나, 2023년에는 다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의 외부 환경과 밸류체인의 실적 악화가 겹치면서 고평가 문제 또한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계속될 경우 시장에서의 신뢰도 하락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부정적 신호로 간주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불법 공매도 조사와 전산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시장의 근본적인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FTSE 러셀은 한국이 선진시장 관찰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공매도 금지가 국제 투자 커뮤니티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공매도 금지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코스피와 코스닥은 주요국 증시 중에서 가장 부진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불리한 시장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파악이 한국 자본시장의 탄력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임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