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보험주와 중소형 보험주 간 양극화 현상, 배당 여력 차이로 뚜렷해져”

올해 한국 보험시장에서 대형 보험주와 중소형 보험주 간의 극심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대형주들은 연초 대비 30% 이상 상승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중소형주들은 10% 이하의 상승률이나 심지어 하락세를 보이며 부진한 성과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최근 도입된 국제회계기준 IFRS17과 함께 강화된 금융당국의 규제로 인해 중소형 보험사의 배당 여력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25일 한국거래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올해 49.12% 상승했고, 삼성화재는 37.12%, DB손해보험은 39.22%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중소형 보험주인 현대해상은 -0.82%, 한화생명은 4.90%, 미래에셋생명은 8.96%로 낮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높은 시가총액을 가진 대형주는 더 성장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주는 더욱 위축되는 양상이 발생하고 있다.

양극화의 주요 원인은 금융당국이 2022년 도입한 해약환급금 준비금 제도에 있다. 이 제도는 고객이 보험 계약을 해약할 경우 돌려줘야 할 금액을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의무를 부과한다. 이러한 준비금은 배당 자원으로 활용될 수 없으며, IFRS17 회계 기준 도입 이후 부채의 시가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해약환급금 준비금이 늘어나게 됐다. 이로 인해 보험사들은 더욱 보수적으로 준비금 규모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NH투자증권의 정준섭 연구원은 “보험업계는 신계약이 증가하더라도 해약환급금 준비금이 함께 증가하며 배당가능이익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규제는 보험사들의 주주환원을 제한하여 시장 반응이 시원치 않았다. 특히 금융당국이 발표한 규제 완화책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K-ICS(지급여력비율)가 200%를 초과하는 보험사에 한해 해약환급금 준비금 기준을 완화해주겠다고 밝혔지만, 현재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보험사는 삼성화재와 DB손해보험뿐이다.

K-ICS는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요구 자본 대비 가용 자본으로 산출된다. 이 비율이 100% 이하일 경우, 보험금 청구가 집중될 때 보험사가 고객에게 보험금을 전액 지급할 수 없는 위험이 있다. 실제로,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 발표 이후에도 대형 보험주의 상승률은 삼성생명(9.12%), 삼성화재(3.48%), DB손해보험(1.16%)과 같은 대형주에서 높았던 반면, 현대해상(-8.03%), 한화생명(0.70%), 미래에셋생명(-0.19%) 등 중소형주는 여전히 부진했다.

정 연구원은 “배당가능이익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하위 보험사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2~0.3배로 저평가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과거에 보험주들이 주식시장에서 배당주로 자리잡았던 점을 고려하면, 현재 배당가능이익이 낮은 보험사는 투자 매력도가 낮은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보험업계의 변화는 향후 투자자들의 접근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